미패드4(MI PAD4 )를 사용하신다면 영어로 사용을 하실겁니다.
언어를 영어로 사용하면 어플 메뉴, 설정들이 모두 영어로 보여 답답함이 있습니다. 어플들이 시스템 언어를 따라가서 그러는데 로케일 설정을 해 준다면 어느정도 한글로된 메뉴들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로케일작업은 안드로이드 ADB 쉘을 이용하는데 난이도가 있는 작업 입니다.
미패드4(MI PAD4 ) 로케일작업으로 한글을 보자.
난이도가 있는 작업이라 해도 글대로 따라하면 쉽게 작업이 이뤄질겁니다. 천천히 해 보세요.
첫번째로 미패드4(MI PAD4 ) 개발자모드를 활성화 해서 ADB사용이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 좌측 메뉴를 스크롤 해서 Additional settings-> Developer options-> Developer options 버튼 활성화 -> 스크롤 내려서 USB debugging 활성화.
위 작업이 끝나면 미패드로 구글플레이스토어를 실행해 'Morelocale2'를 설치 해 주세요.
'Morelocale2'를 실행하면 위 화면이 나오는데 이 화면을 그대로 두고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압축을 풀어주세요.
압축을 풀때 간단한 폴더명으로 C또는 D드라이브 루트에 풀어 주세요.
미패드4를 PC와 USB로 연결 한 다음 윈도우 시작 -> Windows 시스템 -> 명령 프롬프트 우클릭 -> 자세히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 하세요.(윈도우 10기준)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뜨면 'platform-tools_r28.0.0-windows.zip'파일 압축 푼 폴더로 이동하면 됩니다. 저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C:\platform-tools 폴더에 풀었는데 간단히 숫자로 폴더를 만들어 풀어도 됩니다.
실행된 명령 프롬프트에서 압축을 푼 폴더 이동은 cd c:\platform-tool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cd 압축푼 폴더가 있는 드라이브:\폴더이름)
압축을 푼 폴더로 이동이 되었다면 'adb device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기기번호 + device가 나오면 연결이 잘 된것입니다.
만약 다른 메세지가 나온다면 미패드4 화면을 보세요. 화면 잠금을 풀고 보면 아래 메세지가 있을 수 있는데
OK를 선택하고 다시 명령 프롬프트에서 adb devices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될 것입니다.
기기번호 + device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넣어주세요.
adb shell pm grant jp.co.c_lis.ccl.morelocale android.permission.CHANGE_CONFIGURATION
위 명령어를 넣고 엔터를 누르면 아무런 내용이 출력안되는것이 정상 입니다.(명령어는 오타가 있으면 안되니 위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혀넣기 하세요.)
Morelocale2 화면을 보면 영어화면이 그대로 보인다면 맨위 Korean을 터치하면 위 화면처럼 한글로 바뀝니다. 만약 안된다면 Morelocale2어플을 껏다가 켜고 Korean을 터치하면 됩니다.
이제 미패드에 설치된 어플들이(페이스북, 구글플레이, 인터넷브라우저등) 한글로 보일겁니다.
미패드를 사용하다 재부팅을 하면 언어가 다시 영어로 변경되는데 이때는 Morelocale2어플을 실행시켜 Korean을 터치하면 됩니다.
참고하실것은 로케일작업으로 한국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입력은 영문, 중국어만 됩니다.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키보드어플을 설치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