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2월 24일 일본에서 처음 출시되 지금까지 400만대 이상의 판매량을 보였던 PSP가 2014년 6월 역사속으로 사라집니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재팬 아시아 (SCEJA)는 자사의 휴대용 게임기 PSP (플레이 스테이션 포터블)의 일본 국내용 출하를 2014 년 6 월 종료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소니는 이미 올해 4월 피아노 블랙을 제외한 모든 모델 출시를 종료했으며, 6월 남아있는 피아노 블랙 색상 모델의 판매까지 종료하면서 PSP 판매에서 완전 철수한다고 하네요.
물론 물량이 남아있는한 판매는 하겠지만 더이상 만들지 않으니 언제까지 판매가 이뤄질지 모르는 일이고 일단 생산 중단이라고 하니 역사속으로 사라지는건 시간 문제네요.
제 블로그에도 PSP관련글이 20여개 있는데 저두 PSP를 좋아하고 지금도 가끔 플레이하는 입장으로 아쉽다는 마음이 크네요.
PSP Vita의 판매 부진이 PSP때문이네 아니네 말도 많았지만 PSP가 있어 PSP Vita의 판매가 덜된다고 생각한것도 한몪하는듯 하네요. PSP를 역사속으로 보내고 PSP Vita의 판매를 위해 여러 이벤트를 준비중이라는 정보가 나오고 있네요.
PSP를 구입해서 여러번 벽돌을 만들고 나중에는 모드칩을 달아서 사용하기도 하고 ...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PSP 정보를 알아 보겠습니다.
PSP-1005 - 구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은 32메가바이트의 메모리 스틱 듀오를 포함하는 밸류팩(Value Pack)과 1기가바이트 메모리 스틱 프로 듀오를 포함하는 기가팩(Giga Pack), 최소한의 액세서리로 구성된 베이스모델(Base Model)의 패키지로 판매하고 있다. 베이스모델과 밸류팩은 일본에서 2004년 12월 12일에 발매하였으며, 본체와 배터리(1800mAh), AC 충전용 전원 어댑터로 이루어져 있다.
2005년 5월 2일 대한민국에 발매한 밸류팩은 본체와 32메가바이트 메모리 스틱 듀오, AC 전원 어댑터, 리모콘 부착 이어폰, 파우치, 핸드스트랩, 배터리, PSP용 네스팟 접속 UMD(한국전용)가 들어 있다. 화이트팩은 세라믹 화이트 색상의 밸류팩으로서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 12월 8일 에 발매하였으며, 밸류팩과 동일한 구성이며 본체와 소프트케이스의 색상은 흰색이다.
기가팩은 2005년 11월 17일에 대한민국에 발매하였고 내용물은 밸류팩 내용물 외에 1기가바이트 메모리 스틱 듀오, USB 케이블, 스탠드가 들어 있으며 32MB의 메모리 스틱과 핸드스트랩은 동봉하지 않는다. 2005년 10월 31일 일본에서 처음 발매하였고 2005년 11월 3일 북미, 2005년 11월 17일에 유럽과 대한민국에 발매하였다.
베이스팩은 2006년 5월 25일에 대한민국에 발매하였고, 내용물은 본체, 배터리, AC 전원 어댑터로 구성한다.
PSP-2005 - 신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2007년 9월 7일에는 신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모델명 PSP-2005)이 대한민국에 발매하였다, 이는 홍콩의 2007년 8월 30일, 북미의 2007년 9월 5일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발매하는 것이며, 일본 발매일인 9월 20일보다 2주 빠르다. 내용물은 본체, 배터리(1200mAh), AC 어댑터이다. 피아노 블랙, 세라믹 화이트, 아이스 실버의 3색이 발매하였으며, 10월에는 로즈 핑크, 라벤더 퍼플, 페르시아 블루가 추가 발매하였다.
신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기존형보다 얇아졌고 그립감이 달라졌다. 본체 표면의 질감이 달라졌다. 스피커의 위치가 기존의 화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 전원소모량 감소 및 배터리의 용량 감소(결과적으로 동작시간은 구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과 같다) 전용 리모컨 변경 USB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충전 가능케 하였으나 충전과 동시에 사용은 불능 TV 출력 (TV-OUT) 가능 메모리스틱듀오 삽입구의 개선 UMD 삽입 트레이의 개선
그 외에 신형 기기에만 통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도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버전 3.90에서 업데이트된 스카이프 지원 기능이 대표적이다.
PSP-3005
2008년 8월 20일(현지시간) 독일 게임 컨벤션에서 두 번째 신형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의 출시를 발표하였다. 본체 표면 디자인 변경 Home 버튼의 프린트 변경(플레이스테이션 로고로 바뀌었다) 마이크 내장 개선된 LCD(선명도 향상) 커뮤니케이션 장비로의 활용 메신저 기능 포함(Skype) 10월 15일 유럽지역에 199유로로 발매. 보안 강화(기판 구조 변경) - 배터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를 통한 서비스 모드 접근 차단 TV출력 인터페이스도 지원 (AV, S, D, 컴포넌트 케이블 대응)
발표전 터치 스크린이 추가될 거라는 소문도 있었으나 그 예상은 빗나갔다.
PSP로 할수 있는것들을 알아 보겠습니다.
게임
PSP의 입력은 동영상이나 음악보다는 게임에 특화하여 제작하였다. 우측에는 플레이스테이션의 상징인 4가지 아이콘의 버튼이 있으며, 좌측에는 4방향 버튼이 있고, 그 아래에는 아날로그 패드가 있다. 본체의 왼쪽 뒤와 오른쪽 뒤에는 트리거 버튼이 하나씩 있다. 화면 아래에는 보조 버튼이 있어 볼륨 조절 및 화면 밝기를 조절하거나 시스템 메뉴를 부를 수 있으며, 게임용 셀렉트/스타트 버튼이 있다. 아날로그 패드는 게임 콘솔의 아날로그 스틱과 비슷하게 사용되나 움직임은 스틱과는 다르게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PSP용 게임의 3D 품질은 일반적으로 플레이스테이션1보다 좋고 플레이스테이션2보다는 떨어진다.
UMD 영화
UMD(Universal Media Disk)의 충분한 용량(1.8 기가바이트)과 PSP의 넓은 화면으로 PSP는 훌륭한 영화 재생 능력을 보여준다. 현재 UMD 영화를 출시하거나 출시할 계획이 있는 배급사는 월트 디즈니 컴패니, 워너브라더스 픽쳐스, 20세기 폭스, 라이온 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소니 픽쳐스, 뉴 라인 시네마, 파라마운트 픽쳐스, 앤처 베이 엔터테인먼트등이 있다. 애니메이션쪽에는 반다이, 제네온, 펀이메이션, 비즈 미디어에서 《사무라이 참프루》, 《트라이건》, 《건그레이브》 등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발매할 계획이 있으며, 극장판이나 OVA로 《건담 윙: 엔드리스 왈츠》, 《오! 나의 여신님 극장판》, 《공각기동대》가 발매될 예정이 있다. 2005년 6월 22일의 소니의 발표에 따르면, 영화 《연인》과 《레지던트 이블 2》의 UMD가 각각 10만장 이상의 매상을 올렸다고 한다.
동영상과 음악
PSP는 다음과 같은 코덱을 지원한다. 오디오 MP3 ATRAC3 WMA (펌웨어 2.6 필요) WAV (리니어 PCM) MP4 (컨테이너 포맷) AAC
비디오 MPEG-4 MPEG-4 Part 2 MPEG-4 Part 10(AVC, 기술적으로 H.264와 동일)
이미지 JPEG GIF BMP TIFF PNG
메모리스틱 듀오(사진은 입출력 속도가 더 강화된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
PSP는 UMD 디스크나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그림, 동영상,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오디오는 MP3 포맷과 소니의 독자적인 포맷인 ATRAC3 플러스를 지원하며, 동영상은 MPEG-4 Part 2를 지원하며, 펌웨어 버전 2.00 이후로는 메모리 스틱에 AVC 형식의 비디오를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다.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MPEG-4 Part 2 동영상 파일은 /MP_ROOT/100MNV01 디렉터리에 저장되어야 하며, 파일명은 M4V#####.MP4 (#는 임의의 숫자)의 형식을 따라야 한다. AVC 형식으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은 /MP_ROOT/100ANV01 디렉터리에 저장되어야 하며, 파일명은 MAQ#####.MP4 의 형식을 따라야 한다.
(펌웨어 2.8 버전에서 부터는 AVC와 MPEG-4 Part 2 파일에 상관없이 /video 디렉터리에 저장해도 된다.) 동영상 파일의 저장시에는, 같은 디렉터리에 미리보기 이미지로 .THM 확장자의 160x120 픽셀 JPEG 파일을 저장하여 볼 수 있다.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동영상의 해상도는 가로세로의 곱이 76800 픽셀을 넘지 못하며, 이는 368x208또는 320x240, 480x160 등의 해상도에 해당한다.
메모리 스틱에 저장할 동영상을 만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소니에서 판매하는 "이미지 컨버터 2"가 있다. 이미지 컨버터 2 플러스로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AVC코덱을 사용하는 320x240 픽셀 해상도의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Media Boss for PSP, PSP Movie Creator, PSP Video Express, Xcopy9, PSPWare, iPSP, Mobile Media Maker, PSP Video 9, 3GP Converter 등이 있으며, 오픈소스인 FFmpeg등의 프로그램으로 동영상 파일을 PSP용으로 변환할 수 있다. 루리웹과 같은 게임 사이트들에서는 게임 동영상을 PSP용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도 하며, 영화의 트레일러가 PSP형식의 동영상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PSP는 메모리 스틱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때 자막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모리 스틱에 동영상과 자막을 저장할 때에는 동영상 자체에 미리 자막을 합성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펌웨어 버전 2.50에서는 LocationFree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이 기능은 소니에서 발매한 LocationFree base station과 연동하여 PSP에서 TV나 VHS 비디오, DVD를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LocationFree base station과의 연동은 무선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가능하다. 펌웨어 2.60에서는 RSS 오디오 스트리밍 (팟캐스트)이 추가되었다.
지상파 DMB
PSP-3005 발매와 동시에 지상파 DMB튜너를 통한 DMB 시청이 가능해졌다. 시청이 가능한 기종은 PSP-2005와 PSP-3005이며, 별도의 DMB 튜너(PSPAS-D200KR)를 달아야 된다. 가나, 가봉, 뉴질랜드, 대한민국, 독일,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 중국, 프랑스 등을 포함한 해외에서 발매된 기종도 별도의 불법적인 조작없이 시청이 가능하나, 튜너의 성능과 사후처리는 SCEK에서 보장하지 않는다.
GPS
일본에서는 지원하지 않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GPS장비를 발매하여 PSP를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일본에서는 정식 발매하지 않았으나, 영국에서 발매되었던 PSP-300이나 미국에서 발매된 Go! Cam을 달면 일본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펌웨어 3.00 이상부터는 XMB의 [사진]메뉴 -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며, 포함된 UMD 소프트를 통해서 사진과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동영상의 저장 포맷은 Motion AVI로 PSP에서 읽을 수 있는 AVI 포맷이다. 화소는 약131만화소로 사진크기는 1280x960을 지원한다. 밝기가 밝은 곳에서는 선명하게 찍히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잘 안 좋게 찍히는 게 단점이다. 또, 접사모드가 있어서 가까이 찍을때 유용하며, 131만 화소에서 핸드폰 카메라보다 월등한 화질을 보여준다. 사용자에 말에 따르면 사진보다 동영상이 더 화질이 좋게 찍힌다고 한다
Skype
이 기능의 정식 지원은 PSP-2005부터이다. 인터넷 전화인 Skype를 통해 다른 지역의 사람과 전화를 할 수 있다. PSP-2005에는 SOCOM용 헤드셋, 토크맨 마이크, PSP 카메라를 달아야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PSP-3005는 기본 마이크가 내장되어있어서 추가 장비없이도 전화를 걸 수 있다. 일부 통화를 위해서는 돈을 내고 통화금액을 선지불해야 한다.
PS1 에뮬레이터
PS Store를 통해서, PS1의 게임을 다운받아 플레이할 수 있다. CPU클럭은 333Mhz에 고정되며, 펌웨어에 따라 구동이 잘 되는 소프트와 안되는 소프트가 있다. 일본의 PS Store에서도 다운받아 플레이할 수 있다. 공식지원은 3.00 펌웨어부터이나, 최신 펌웨어가 아니면 PS Store에서 PS1 게임을 구매할 수 없다.
PS3와 연동
소니의 가정용 게임기인 플레이스테이션3와 연동이 가능하다. 플레이스테이션3가 켜져있다면, 바깥에서 1000,2000,3000 시리즈는 Wi-Fi로, GO 시리즈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플레이스테이션3를 PSP를 통해 원격 조종할 수 있다. 게임은 일부 플레이 가능하고, PS3의 음악, 동영상,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지금도 제 컴퓨터책상 서랍에 PSP2005 블랙이 고이 모셔져 있답니다. PSP1005 부품들도 많이 있고...
이젠 더이상 판매를 안한다고 하니 서운한 마음에 PSP3005버전을 구입해둘까 하네요.
이 글을 쓰면서 PSP 정보를 볼려고 소니코리아 홈페이지에 갔더니 이미 PSP관련 정보는 삭제되었네요.
10여년 가까이 옆에두고 사용한 PSP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니 서운한 마음 가득한데 소니코리아 홈페이지에도 관련 정보를 삭제한것을 보고 더 씁쓸해 지네요.